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2025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방법!

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만든 장기 저축형 금융상품으로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주는 제도로 2025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나이는 만 19세~34세까지인데 병역이행자는 복무기간만큼 연장할 수 있어 39세까지 가능하고, 연 소득 7,500만 원 이하 &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의 소득이면 가능한데 가구 전체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250% 이하여야 합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으로 중요한 금융소득이 최근 3년간 금융소득 연 2천만 원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, 가구원 소득 기준으로 1인 혼자인 경우 약 6,234만 원 이하, 2인은 약 1억 368만 원 이하, 3인은 약 1억 3,304만 원 이하 조건이 되어야 합니다.

 

가구원 소득 기준으로 4인은 약 1억 6,203만 원 이하, 5인은 약 1억 8,992만 원 이하 이며 매월 2주간 은행 앱을 통해 가입 신청을 받으며 별도 서류 없이 개인소득, 가구소득 확인 등의 절차를 진행합니다.

 

아르바이트 등 소득이 있다면 가능하며, 소득 요건을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고, 근로자 또는 사업자여야 하므로, 소득이 없는 무직자는 가입이 불가능하며 기존 적금과 중복 가입은 불가능해 하나의 청년 지원 계좌만 유지 가능합니다.

 

본인 인증 및 자격 확인 후 KB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IBK 기업, NH농협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iM뱅크 은행 선택 후 서류 제출 및 가입 완료되는데 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회수되며, 일반 예금과 동일한 처리 방식이 적용됩니다.

 

은행 앱 또는 청년도약계좌 전용 포털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, 모바일 인증으로 간편하게 처리됩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중간 소득 이하 청년들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용한 상품으로 2025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